본문 바로가기
728x90

PM63

2주차) 06 - 02 - 프로젝트 완료 서비스 릴리즈 후에는 아무리 열심히 QA를 했어도 서비스에서는 수 많은 버그가 나올 것이고 CS가 폭발할 것이고 심지어 롤백을 요청하는 고객들도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이번 시간에는 서비스 릴리즈 후에 기획자는 어떤 일을 해야되는지 한 번 알아보자. 서비스 운영 - 고객이 서비스 및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성을 파악하고 개선사항에 대한 대응을 하는 업무 CS응대 CS 응대는 사업팀과 운영팀과 협업 고객의 요청사항에 대한 답변, 서비스 정책 기획, 파트너사 관리를 하게된다. 개발 관리 개발팀과 디자인팀과 협업 서비스 업데이트 버전관리, 장애 대응, 고객문의 확인을 하게 된다. 데이터 분석 개발팀과 협업 데이터 추출, 데이터 분석, 대시보드 기획을 하게된다. 어드민 기획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기능을 추가한.. 2023. 10. 14.
2주차) 06 - 01 -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기획자는 모든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에 있는 사람이다. 내부 커뮤니케이션은 프로덕션 팀과의 커뮤니케이션과 상위 매니저의 커뮤니케이션으로 나뉜다.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주로 상위 의사 결정권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말한다. 서비스 방향성을 결정하고 서비스의 성공여부 판단, 조직 간의 이슈를 보고한다. 주로 상위 기획서를 작성하게 된다. 그 안에는 이러한 내용이 들어간다. 현황 분석과 동기 부여이다. 현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제품 및 서비스의 구현 방향 작성 목표 KPI를 기준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목표를 작성 페르소나를 설정하고 해당 유저의 사용 동선 작성 서비스 구현 방향 변경 조직 간의 이슈 보고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주로 다른 직군의 실무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말한다. 서비스의 구현 방향, .. 2023. 10. 14.
2주차) 05 - 02 - 프로젝트 프로세스 관리 기획서를 꼼꼼하게 쓰고 아이데이션이나 전반적인 내용이 좋더라도 프로젝트 관리를 똑바로 하지 않는다면 디자인이나 개발을 거쳐서 결과물이 좋지 않을 경우가 많다. 프로젝트에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방법은 중요하다. 관리방법 요구사항 정리 상위 기획서 작성 상위 매니저나 경영진에게 앞으로 이런 방향성의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설계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개발 필요사항 정리 백로그(Back Log) 제품 및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요구사항 및 예상소요 비용을 산정하는 단계 개발 요구사항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 상위 기획서를 통해서 합의한 내용에 대해 서비스 요구사항을 정리할 것이고 그 요구사항에 맞게 1차 백로그가 나오게 된다. 초안을 기반으로 스펙 변경, 개발팀에게 리뷰진행, 비용 산정, 의사결정의 과정을 수없이 겪게.. 2023. 10. 13.
2주차) 05 - 01 -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 실패의 이유 중 가장 큰 이유 조직 우선순위의 불안정성 프로젝트 방향성의 불안정성 조직의 리소스는 한정되어 있으며 모든 요구사항을 변경하는 것은 어렵다. 서비스 기획자는 명확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한다. 프로젝트의 우선순위는 제품, 서비스의 컨셉을 구현하는데 가장 필요한 기능을 기준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되어야 한다. 킬러 피처는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말한다.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기법 첫번째로 고려해야 할 것은 서비스 컨셉을 먼저 잡아야 한다. 서비스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것이 킬러 피처이고 이를 정의하는 것이 서비스 컨셉이다. 두 번째는 일정을 고려해야 한다. 세 번째는 가용 가능한 리소스이다.(인력, 서버 자원 등) 한정된 자원을 받기 때문에 우선순위 설정이 필요하다. 방.. 2023. 10. 13.
2주차) 04 - 01 - B2C, B2B 사업자향 서비스 (B2C) Business To Customer, 일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들이다. 예) 배민, 쿠팡 등 고객이 사용가치를 느끼는가 라는 것이 중요하다. B2C의 BM(비지니스 모델) 이용자들이 이 비지니스 모델을 통해 이 서비스의 대가를 지불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고민, 마음의 장벽을 사용 장벽이라고 표현한다. 기획 관점 사용자 동선을 중심으로 기획해야 한다. 데이터, 개인의 경험이 중심이 되야 한다. 개인의 만족감, 개인의 목표를 위해 사용한다. 소비자들이 필요한걸 해결해주는것이 목표이다. 기능 중심 개선을 지향한다. UX 개선등의 업데이트가 비교적 자주 있다. 업데이트는 자주 진행ㅎ나다. 일괄 업데이트에 대한 부담감이 상대적으로 적음 사업.. 2023. 10. 12.
2주차) 03 - 01 - 서비스 컨셉과 방향성 도출 / 목적 조직, 기능 조직 안에서 역할 서비스 컨셉이란? 어떤 작품이나 제품, 공연, 행사 따위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주된 생각이다. 서비스 컨셉이 중요한 이유는 '왜'에 대한 답변을 문자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좋은 컨셉과 나쁜 컨셉으로 나뉘는 기준은 한 귀에 들어오느냐 안들어오느냐의 차이가 있다. 서비스 컨셉 설정 단계 문제의식 발굴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 문제 의식 검증 문제의식이 실질적으로 사용자들이 정말로 이것을 문제로 여기고 있는가 검증을 해야 한다. 데이터 추출 혹은 분석이 중요하다. 이탈률의 지표를 보면서 문제 의식 검증을 하면 된다. 즉각적인 사용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문제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방법이 있다. 벤치마킹은 자신의 경쟁사를 찾아 좋은 점은 배우고 나쁜 점은 고치고 하는 방법이 있다. 개선 사항 도출 문제 해.. 2023. 10. 11.
2주차) 02 - 01 -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 서비스 기획자는 제품을 통해서 얘기해야 하는 사람이다. 제품을 통해서 그 역할이 인정받기 때문이다. 서비스 기획자란? 사용자의 니즈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설계하며, 이를 서비스를 통해 증명하는 사람이다. 기획자는 기획서를 잘 쓰는 것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획서를 통해서 혹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부서에게 협업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기획자의 주요 업무 서비스 기획 서비스의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하기 위한 프로젝트 전반을 담당 기술 기획 서비스 출시를 위한 적용할 기술의 검증 및 적용범위 검토 개발에 대한 지식은 서비스 기획자가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역량 중 하나이다. 운영 기획 서비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장애대응, CS응대 등 지원 업무 데이터 기획 서비스 운영 및 개선을.. 2023. 10. 11.
2주차) 01 - 01 - 그로스 해킹 그로스 해킹은 프로덕트 마켓 핏을 찾은 회사가 프로덕트의 성장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그로스 해킹이란 저비용 고효율의 마케팅을 한다는 의미이다. 서비스 기획자의 중요한 업무는 프로덕트의 성장이다. 따라서 그로스 해킹은 기획자에게도 필요하다 그로스 해킹의 과정 서비스를 만든다 -> 가설을 세운다 -> 검증하고 대책을 실시한다 -> 개선한다 의 무한 루프이다. 그로스 해킹의 포인트 상품/서비스도 포함하여 개선해야 한다. 유저 획득부터 수익화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서비스를 성장시키는 게 목표이다. 데이터에 기반한 가설 검증 및 분석을 해야한다. Growth Hacking의 사례 Hotmail - 초기에는 라디오 광고와 도로 옆 광고판에서 광고했다. 이메일 하단에 'PS: I love you. Get yo.. 2023. 10. 10.
1주차) 06 - 01 -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회사 성격에 따른 기획자의 업무 에이전시, SI(System Integration) - 다양한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서 빠르게 IT 제품을 만들어 납품한다. 지정된 시간에 요청한 스펙을 빠르게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PMF를 찾는 중인 회사 - 신규 제품을 빠르게 구현해 가설을 검증해야 한다. MVP 구현 및 가설 검증이 중요하다. PM-Fit를 찾은 회사 - 기존 제품에 대한 고도화 및 성장, 기존 플랫폼에 신규 프로덕트 발굴을 해야 한다. 제품 고도화 및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고 성장할 수 있는 신규 가설에 대한 실험이 중요하다.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기능제품이라고 불린다.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한 제품이다. 근본적인 사업 가설을 테스트 .. 2023. 10. 9.
1주차) 05 - 01 - 서비스 기획자에게 필요한 스킬셋 프로덕트 성공을 위해 필요한 스킬셋 사용자와 제품에 대한 이해 서비스 기획은 사용자들이 좋아하고 사랑받는 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 매출 구조를 잘 만들어야 한다. 비즈니스 및 사업 모델에 대한 깊은 이해 동료들로부터 신뢰를 형성하고, 리드할 수 있는 능력 서비스 기획 실무를 위해 필요한 스킬셋 IT서비스 개발 업무를 협업하기 위한 도메인 지식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 능력 데이터를 이용해서 결과치를 뽑아내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비지니스 및 사업 모델에 대한 이해 중고거래 서비스를 예로 들면 물건의 판매와 잘 이루어지게 도와주고 다양한 상품의 거래를 일으키는게 우선이 된다. 고객 경험이 좋아지게 되면 구매자가 더 많아질 것이고 트래픽은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된다. 구매자의 트래픽이 많아지면 판매.. 2023. 10.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