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서비스 컨셉이란?
- 어떤 작품이나 제품, 공연, 행사 따위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주된 생각이다.
- 서비스 컨셉이 중요한 이유는 '왜'에 대한 답변을 문자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 좋은 컨셉과 나쁜 컨셉으로 나뉘는 기준은 한 귀에 들어오느냐 안들어오느냐의 차이가 있다.
- 서비스 컨셉 설정 단계
- 문제의식 발굴
-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
- 문제 의식 검증
- 문제의식이 실질적으로 사용자들이 정말로 이것을 문제로 여기고 있는가 검증을 해야 한다.
- 데이터 추출 혹은 분석이 중요하다. 이탈률의 지표를 보면서 문제 의식 검증을 하면 된다.
- 즉각적인 사용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문제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방법이 있다.
- 벤치마킹은 자신의 경쟁사를 찾아 좋은 점은 배우고 나쁜 점은 고치고 하는 방법이 있다.
- 개선 사항 도출
- 문제 해결 방안을 만들어 내야 하고 그거에 대한 초안을 설계하고 문제 해결 방안이 구현이 가능할지 적용이 가능할지 생각해야 한다.
- 서비스 콘셉트 설정
- 서비스 설계를 위한 가설 설정 해야 한다.
- 서비스 컨셉 설계 시 고려사항
- 개선하고자 하는 단계별 확인 지표 - AARRR
- Acquisition - 사용자 유치(현재 사용자가 어떻게 서비스를 접하고 있는가?), KPI - 트래픽, DAU(일별 사용자 수), MAU(월별 사용자 수)
- Activation - 사용자 활성화(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는가?), KPI - CAC, CPC(클릭을 한 번 하는데 드는 비용), 이탈률
- Retention - 사용자 유지(서비스 재사용률은 어떻게 되는가?), KPI - 재방문수
- Referral - 사용자 추천(서비스가 자발적 확신이 이루어지는가?), KPI - 공유수, 초대코드 인입수
- Revenue - 최종목표(서비스가 최종목표에 달성하고 있는가?), KPI - 서비스별 상이
- 개선하고자 하는 단계별 확인 지표 - AARRR
- 목적 조직 - 다양한 직군의 인력(기획, 개발, 디자인, 사업...)을 하나의 목적 아래에 조직을 구성하여 업무를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 기획자는 서비스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다 함께 해야 하고 모든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들어가 있다.
- 신규 프로젝트 혹은 TF형태에서 많이 보이는 형태이다.
- 하나의 제품 단위로 프로젝트를 할당받게 된다.
- 제품의 방향성 및 요구사항을 설정해야 한다.
- 각 인원은 하나의 프로젝트에 집중하는 케이스가 많다.
- 제품 내 각 기능 간의 상호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 기능 조직 - 동일한 직군의 인력으로 조직을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 리소스가 할당되어 업무를 진행한다.
- 기획자는 기획에 충실하고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역할을 좀 더 충실한다.
- 주로 운영 중인 제품에 대한 기능 개선이 필요한 경우 배치된다. 자신에게 특화된 기능에 배치된다.
- 각 기능을 하나의 프로젝트 단위로 할당받게 된다.
- 제품의 방향성 및 요구사항은 정해져 있는 케이스가 많다.
- 각 인원이 복수의 프로젝트를 담당하게 되는 케이스가 많다.
- 각 담당 기능의 구현에 집중하는 형태이다.
- 문제의식 발굴
728x90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주차) 05 - 01 -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 (0) | 2023.10.13 |
---|---|
2주차) 04 - 01 - B2C, B2B (3) | 2023.10.12 |
2주차) 02 - 01 -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 (0) | 2023.10.11 |
2주차) 01 - 01 - 그로스 해킹 (2) | 2023.10.10 |
1주차) 06 - 01 -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0)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