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PM63

4주차) 01 - 01 - 서비스 정책서, 요구사항 정의서(PRD) 정책서란? 정책 - 서비스를 관리하는 원칙이나 규율 정책서 - 서비스를 관장하는 용어와 운영정책과 원칙을 정의한 산출물 서비스 정책을 위한 고려사항 - 현실 세계의 법률, 사용하는 사람들의 역사와 문화, 철학, 생활 인프라, IT 인프라, 개발, 디자인 문화, 역사, 인프라를 생각해야 되는 이유 인도를 예를 들어 인도에서의 아이폰 사용자는 1% 정도 된다. 대부분은 안드로이드를 이용하는데 인도 시장에 앱 서비스를 출시하게 될 때 IOS로 출시하게 되면 그 서비스는 중단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화, 역사, 인프라를 생각하지 않고 서비스를 출시하게 될 경우 그 서비스의 성공 확률은 낮아질 수 밖에 없다. 정책서 작성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법률 서비스 정책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하려고 하는 서비.. 2023. 10. 23.
15日 - 01 - 데이터 분석 데이터 분석툴의 종류 초급 GA -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 분석 서비스로 유저를 로그기반으로 트래킹해 보기 쉬운 형태로 제공해 주는 분석 도구이다. Excel - 상용화된 툴이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피벗 테이블 & 피벗 차트를 활용하면 다양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고 쉽게 시각화할 수 있다. 중급 SQL - 데이터에 접근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다. 진입 장벽이 낮아 데이터 분석가 외에도 마케터, PM, PO들이 두루 사용한다. Amplitude / Mixpanel - 이벤트 로그 기반의 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도구로 다양한 분석 도구를 제공하여 데이터 분석가 없이도 유의미한 프로덕트 인사이트 확보가 가능하다. 태블로 - 다양한 시각화 차트가 제공되어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한 업.. 2023. 10. 20.
14日 - 01 - 데이터 분석, 지표 고객 중심 기획의 어려움 고객의 행동 패턴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그 고객이 모여있는 시장 또한 너무나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경험에 의존하여 기획을 할 경우에 오히려 고객과 멀어질 수 있다. UT, FGI(Forcus Group Interview) 등 정성적 조사를 바탕으로 유저의 목소리를 듣고 제품을 개선해 나갈 수 있으나 다양한 직군이 존재하고 고객의 주관이 들어가기 때문에 실제 서비스 기획에 활용하기 어렵다. 고객이 원한다고 이야기 하는 것과 그들이 실제로 원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지표 If you can't measure it, you can't manage it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 Peter Drucker - 어떤 지표를 측정하느냐에 따라 어떤 개선을 이뤄낼.. 2023. 10. 20.
13日 - AB Test 사례 이런 사례들을 보면서 실패한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어떤 식으로 개선하면 좋을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출처 - goodui.org Airbnb 유저 별점을 함께 노출하는 것이 더 높은 효율을 발휘한다. (19년 9월 3일) 별점을 채워진 것으로 할지 점수로 보여줄지 테스트 했었다. 업체의 가용일정을 노출하고 원클릭으로 여행 일정을 입력하는 테스트를 진행했으나 많은 사용을 못받고 폐기했다. (20년 9월 3일) 예약하기 버튼을 상단으로 올리면서 이것은 높은 효율을 발휘해 채택되었다. bol.com 유저 별점과 별점에 참여한 유저 수를 함께 노출하는 것이 더 높은 효율을 발휘한다. (20년 9월 23일) Amazon 정기결제를 늘리기 위해서 정기결제를 기본 선택값으로 변경했으나 효율이 낮아.. 2023. 10. 19.
12日 - 01 - AB Test AB Test란? 임의로 나눠진 두 집단에게 서로 다른 UI/UX 등을 제시하고 두 집단 중 어떤 집단이 더 높은 성과를 보이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IT기업에서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의 도구로 활용한다. 예) google, amazon, facebook - 매년 10,000 개의 실험 진행, airbnb - 500개 이상의 실험 상시 진행 대표적인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및 서비스 기획 방법 AB Test는 왜? 빠르게 변해가는 시장에서 정답은 정해져 있지 않다. AB Test를 통해 뭐가 더 좋은지 확인하기 좋다. 쉽고 빠르게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에서 경험있는 개인에게 의지하는 것은 위험하거나 비효율적이다. 최고의 인재가 모인 Google, Microsoft 등에서 하는 실험의 .. 2023. 10. 19.
11日 - 02 - Wireframe, Prototype 공통점 시제품이 나오기 전 제품의 초기 버전이다. 의사소통의 도구이다. 기획 컨셉을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제대로 이해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자신이 가장 쉽고 편하게 다룰 수 있는 툴을 통해서 빠르게 만들고 더 자주, 더 깊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사이의 이해의 간격을 좁혀주는 역할을 한다. MVP와 다르게 실제 사용자인 고객이 사용 || 피드백하는 용도가 아닌 내부(프로덕트 팀, 비즈니스 관계자) 의사결정을 위해서 활용된다. Wireframe 디자이너가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기초역할을 한다. 세부 묘사에 치우치지 않고 핵심적인 요소만 최대한 추상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애니메이션이 적용된 효과, 복잡한 전환 등 복합적인 디자인 아이디어를 설명하는 경우.. 2023. 10. 17.
11日 - 01 - MVP(Minimum Viable Product) MVP란? The minimum viable product is that version of a new product which allows a team to collect the maximum amount of validated learning about customers with the least effort. - Eric Ries - The Lean Startu의 저자인 에릭리스가 사용한 단어이다. 최소의 기능 제품 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최소의 노력을 들여 고객에 대한 최대의 배움을 얻게 해주는 프로덕트이다. 왜 필요한가? 출시 -> 측정 -> 배움 -> Pivot / 개선 이어지는 피드백 루프를 가장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다. Pivot은 기업이 기존에 하던 비즈니스 모델, 프로덕트의 성공.. 2023. 10. 17.
10日 - 칸반 칸반이란 에자일 방법론 중에 스크럼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일본어인 칸반 한국어로는 간판이다. 도요타 생산 시스템에서 사용된 칸반에서 유래되었다. 전 단계의 부품이 재고로 쌓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필요한 만큼의 부품을 적시에 만들기 위해 노력이었고 이를 JIT(Just In Time)이라 부른다. 칸반의 실천법 시각화 칸반 보드와 카드를 이용하여 작업 상황을 시각화한다. 칸반 보드는 시작 시점과 끝 지점이 열로 나눠져 있고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흘러가는 구성이다. 끝 지점에 이르러서는 작업 내용이 유저에게 전달되고 의미 있는 가치로서 제공 되어야 한다. 칸반 보드는 온라인 시스템 지라, 아사나, 트렐로 등을 통해서 사용한다. 카드는 작업 단위, 카득가 속해있는 열은 해당 카드의 프로세스 단.. 2023. 10. 17.
09日 - 02 - 에자일 방법론 에자일 방법론이란? 미리 모든 것을 계획하고 개발을 시작하는 전통적 개발 방법론(Waterfall)과 다르게, 최소 기능 제품을 빠르게 개발하여 유저들의 피드백을 받고, 해당 피드백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는 개발 방법론 작고 빠르게 실행하면서 시장의 반응을 살피고 그 반응을 통해 민첩하게 개선 또는 방향성을 변경해 나가면서 프로덕트를 만들어 나간다. 장점 잘못된 제품을 개발하는데 사용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더 자주 유저의 피드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실패할 확률을 낮출 수 있다. 계획 혹은 기능에 대한 수정과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단점 요구사항이 명확할 경우 오히려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 최종 제품이 요구사항과 달라질 수 있다. 고겍에게 제공하는 가치에 집중하기 때문에.. 2023. 10. 16.
09日 - 01 - 서비스 기획 업무 IT회사에서 하나의 프로덕트가 완성되기 전까지 UX, Tech, Business 모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기획하고 프로덕트 팀이 올바른 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끔 팀을 이끄는 역할이 프로덕트 오너, 서비스 기획자, PM의 역할이다. 프로덕트 오너는 비즈니스 관계자들과의 요구사항과 개발자의 요구사항 두 요구사항에 대해서 심도 깊게 이해하고 서로 간의 설득하면서 양측의 니즈가 적절하게 반영된 프로덕트를 만들어 나갈 수 있게 프로덕트 팀을 리드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덕트 오너는 자신이 속한 기업이 어떤 사업을 하고 어떻게 돈을 벌 것이며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성장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린캔버스 - 스타트업의 Business Model을 쉽게 표현할 수 있는 도표 .. 2023. 10.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