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주차) 02 - 01 - 프로덕트 관리 및 산출물
프로젝트 프로세스 현황 분석 - 시장분석, 경쟁사 분석, 자사 분석, 고객 분석 포지셔닝 - 고객 세그먼트, 타겟 고객 선정, 사이트 포지셔닝 기획 및 디자인 - 서비스 컨셉 및 전략, IA 설계, 화면 설계, 콘텐츠 제작, 디자인, 테스트 구현 및 검증 - 서버 개발, UI 개발, 프론트 개발, QA 일정관리 예전에는 WBS라는 엑셀 문서를 사용했지만 요즘에는 JIRA라는 툴을 사용한다. JIRA를 사용하면 전체 일정 진행 상황 파악, 업무 할당 및 진척도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덕트 배포 배포 일정은 개발 조직이 정한 배포 일정이나 절차가 있는지 먼저 확인한다. 미리 배포 일정과 변경사항을 협업팀(법무팀, 마케팅팀, 고객센터)과 공유 협의한다. 저녁 늦게 또는 금요일에는 배포하지 않는다. 배포 후 이..
2023. 11. 13.
6주차) 05 - Portfolio(포트폴리오)02
서비스 개선 현재 문제점과 왜 개선해야 하는지를 작성해야 한다. 기간, 역할, 기대효과, 현황(없으면 빼기) 등의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현 서비스 분석, 개선방향 검토 -> 동종 타 서비스 분석, 도입 기능 정의 -> 개선 방향 확정, 서비스 보완 설계 데이터에 대한 근거가 필요하다. 신규 서비스 기획 서비스 컨셉 정의 -> 시장/사용자 분석, 유사 서비스 분석 -> 서비스 방향 확정, 신규 서비스 기획 벤치마킹이 중요하다. 타 서비스들을 보면 어떤 인사이트가 나온다. UI/UX 개선 기획 UI/UX 트렌드 분석, 현 서비스 UI/UX 분석, 타 서비스 UI/UX 분석 -> UI/UX 키워드 도출 -> 개선 방향 설정, UI/UX 보완 설계 트렌드를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UI/UX 관련된 다양한 법..
2023. 11. 10.
6주차) 03, 04 - Portfolio(포트폴리오)01
Portfolio(포트폴리오) 자신의 이력이나 경력 또는 실력 등을 알아볼 수 있도록 자신이 과거에 만든 작품이나 관련 내용 등을 모아 놓은 자료 묶음, 작품집으로 실기와 관련된 경력증명서 기획자의 요구 능력 왜 기획자가 되려고 하는지에 대한 생각 조직적 분석 / 설계 스킬, 문제 해결 스킬, 커뮤니케이션 스킬 현황 파악 -> 문제점 발견 -> 개선 방향 -> 개선 실행 이 순서로 일을 하게 된다. 어떤 기획자 web/app 기획, 전략 기획, 마케팅 기획, 시스템 기획 web/app기획 UI/UX 중심의 서비스 기획 Web, App, Service, paper work, QA, QC, Structure 이 부분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전략 기획 Business 중심의 서비스 기획 전략을 잘 짜서 방향을..
2023. 11. 9.
6주차) 01 - 02 - Wireframe(와이어프레임)
와이어프레임 와이어프레임은 스토리보드의 개념이다. UI를 어떻게 표현할지를 그려 놓은 화면의 프로토타입이다. 웹 페이지, 앱 페이지의 화면을 페이지 구조, 레이아웃, 정보구조, 유저 플로우, 기능, 의도된 동작들에 대한 정의이다. 와이어프레임을 작성할 때 왜, 목표, 무엇, 컨셉이 항목들이 녹아져 있어야 한다. 왜 해야 되는지가 명확해야 한다. 목표를 정확하게 해야 한다. 어떤 목표를 잡고 가느냐에 따라서 와이어프레임이 좀 달라진다. 목표는 변하면 안된다. 서비스를 하는 데 있어서 뭘 해서 사용자들과 커뮤니케이션할지 녹아져 있어야 한다. 웹 사용자를 이해해야 한다. 웹의 구조로 표현해야 한다. 웹의 언어로 표현해야 한다. 웹/앱의 구조를 설계하고 화면 UI를 설계(콘텐츠의 적절한 배치, 서비스 화면 구조..
2023.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