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

1주차) 03 - 01 - 서비스 기획이란? (서비스 기획 순서, 프로세스 진행)

by 이리2리 2023. 10. 5.
728x90
  • 서비스 기획이란??
    • 사용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과정을 설계하는 것이다.
    • 서비스 기획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과정을 제품을 통해서 혹은 서비스를 통해서 제공을 하게 된다.
  • 전략 - 사업 - 기획 - 디자인 - 개발의 절차를 통해 제품 혹은 서비스를 완성하게 된다.
    • 전략은 사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콘셉트를 제시하는 역할이다. 리서치나 벤치마킹을 통해 사용하는 것이 많은 사람들이 아는 방법이다. 항상 니즈를 파악하고 콘셉트까지 니와야 한다.
    • 사업은 들어갈 때도 있고 안 들어갈 때도 있다. 그 이유는 많은 서비스들이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무료로 배포하는 B2C 서비스가 많기 때문이다. 이 경우 사업팀이 관여할 부분이 없기 때문이다.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는 역할을 한다.
    • 기획은 설계도를 만드는 과정이다.
    • 디자인은 설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 개발은 설계도에 맞춰서 만드는 역할을 한다.
  • 서비스 기획은 모든 과정에서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
  • 프로젝트 진행 프로세스
    • 집을 만드는 것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조금 더 이해하기가 쉬울 것 같다. 설계하고 실제로 건축하고 완공된 이후에 인테리어 하는 과정이다.

 

  • Pre-Production (제품 혹은 서비스를 설계하는 단계)
    • 기획서가 기획자들의 산출물이 된다.
    • 기획서에는 이것이 왜 필요한가, 왜 만들어야 하는지, 필요하면 이것이 어떻게 만들어져야 하는지, 어떤 게 안에 들어가야 하는지, 최종적으로 어떤 모습이 나와야 하는지 등이 들어가야 한다.
    • 리서치
      • 문제해결을 위한 해결방안 검토를 위한 조사
      • 내부 리서치와 외부 리서치로 나눌 수 있다.
        • 내부 리서치에는 로그 데이터, A/B 테스트, VOC(Voice Of Customers), 사용성 테스트, 사용성 벤치마킹, 데이터 마이닝 등이 있다.
        • 외부 리서치에는 사용자 서베이, FGI(Focus Group Interview) 인터뷰, 벤치마킹, 온라인 자료조사, 리서치 업체, 데이터 마이닝 등이 있다.
    • 타당성 검토
      • 조사한 자료를 기반으로 해결방안 설계하고 상위 기획서를 작성
      • 상위 기획서는 의사 결정권자, 상위 매니저들의 검토 단계를 위한 기획서이다. 왜라는 생각을 가지고 기획서를 작성하게 되면 좋다.
    • 필요 스펙 정리
      • 해결방안에 대한 구현방식, 목표를 설정하고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스펙 정리 단계
    • 사업성 검토
      • 사업 관련 부서와의 사업성 검토
      • 사용자 VOC 분석, 클라이언트 요구사항 검토, 사내 타 서비스와의 카니발리제이션 여부 검토, 내부 자산 활용 방안 검토, 서비스 패키징 가능여부 검토 등이 있다.
    • IA(Information Archtecturing) 설계
      • 협의된 스펙을 바탕으로 메뉴를 분류해 Depth 구조로 설계
      • 서비스 플로우, 컨텐츠, 커뮤니케이션로 나뉘게 된다.
      • IA는 협업 부서들이 IA를 보고 서비스의 큰 그림을 확인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함이다.
    • 개발 이슈 검토
      • 서비스 구현 가능성 및 적합성 검토
      • 구현 방향 논의, 추가 검토 필요사항 전달, 리소스 할당 등을 논의해야 한다.
    • 화면 설계 
      • 구체적인 서비스의 동작 및 정책 등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상세 기획서 작성
      • 상세 기획서 구성요소로는 표지 및 목차, 히스토리, 사이트 맵, 화면목록, 상세 설계가 들어간다. 이때 프로덕션 팀이 독자라고 생각하고 한 권의 책을 쓴다고 생각하고 작성하면 된다.
      • 기획서는 길어지기 마련이기 때문에 페이지 네이션을 잘 해야된다. 목차 쪽에서 한 번 잡아주고 가는 게 좋은 기획서라고 할 수 있다.
      • 히스토리에서는 기획서의 버전을 명확하게 명시해 이전의 기획서와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작성해놓으면 될 것 같다.
  • Production(제품 혹은 서비스를 개발하는 단계)
    • 이 단계에서 가장 많이 협업하게 되는 부서는 디자인팀, 퍼블리싱팀, 개발팀이 있다.
    • 앞 단계 Pre-Production 단계에서 깔끔하게 문서 작업을 해놓으면 Production 단계에서 커뮤니케이션 이 덜 힘들게 된다.
    • 기획서 리뷰
      • 상세기획서 작성 완료후 관련 부서 전체에 리뷰를 하게 된다.
      • 스펙 상세 리뷰
      • 기능 구현 가능여부 검토 요청
    • 리소스 할당
      • 서비스 개발을 위해 각 부서 담당자 배치를 한다.
      • 일정 산정
    • 디자인 
      • 상세기획서 내용을 기반으로 서비스 디자인을 제공받으며 시안을 기준으로 수정사항 확인하고 반영한다.
      • 디자인 컴포넌트 확정, 디자인 시안 검토, 디자인 가이드라인 공유, 인터랙션 재검토
    • 퍼블리싱
      • 디자인 시안을 바탕으로 마크업을 진행한다.
      • UI/UX 요소 구현, 테스트페이지 요청, 디자인 반영내역 검토, 반응 웹 반영 검토
    • 개발
      • 기획서 스펙사항을 서비스에 반영한다.
      • FE - BE 간 커뮤니케이션, TC(Test Case, 테스트 단계) 수립, 개발 일정 조율, 변경 내역 검토 및 조율
    • QA(Quality Assurance)
      • 개발이 완료된 내용에 대해 품질 검증을 위한 테스트를 진행한다.
      • TC 제작, 버그 발견 및 수정 요청, 릴리즈 일정 조율
    • 릴리즈
      •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배포 한다.
      • 사전 공지, 약관 검토, 앱 심사 요청, 회고
      • 보통 릴리즈를 하게 되면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하게 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