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주차) 02, 03 - 01 - 프로젝트 프로세스
프로젝트 Process 0. 프로젝트 계획 업무 분석, 인력 구성, 환경 세팅, 프로세스 정의, 산출물 정의, 일정 산정 계획 단계는 제안서와 투입 인력 계획서를 근거한다. 조금 더 카테고리를 낮춰서 보게 되면 실투입인력 계획, 상세 WBS(Work Breakdown Structure), 환경 세팅, 메인 시안용 기획, 제안 범위 재협의, I.A 초안 작업 맨먼스 m/m - 작업량을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로 한 사람이 한 달 동안에 할 수 있는 작업의 양을 나타낸다. 한 달에 한 명이면 1m/m, 한 달에 두 명이면 2m/m 타스크 - 모듈명이다. 1. 프로젝트 분석 환경 분석, 요건 분석, 콘텐츠 분석, 정책 정의, 가이드 정의, 시스템 분석이 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환경 분석(시장 환경 분석, 업..
2023. 11. 1.
5주차) 01 - 02 - 프로젝트 진행 순서
프로젝트 컨셉 정의 프로젝트의 목표 정의 기능과 역할 무엇인지 정의 수익 모델은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경쟁력이나 차별화 부분은 어떠한 컨셉을 가지고 갈 것인지 정의 프로젝트 발주사(Client) 입장 사업 계획을 세우고 예산을 편성을 제외한 부분이다. RFP(Request For Proposal) 가장 중요한 것은 RFP(Request For Proposal) 제안 요청서이다. 제안 요청서를 보고 구축사가 진행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발주사가 특정 과제의 수행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함으로써 제안자가 제안서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문서이다. 해당 과제의 제목, 목적 및 목표, 내용, 기대성과, 수행기간, 금액, 참가자격, 제출서류 목록, 요구사항, 제안서 목차, 평가 기준..
2023. 10. 30.
4주차) 04 - 01 - 기획자가 UX를 이해하는 법
UX의 개념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로 컴퓨터, 웹, 시스템 등의 정보기기와 사용자가 만나는 Interface로써 사용자와 정보기기가 서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UX(User eXperience)는 사용자의 경험으로 컴퓨터, 웹, 시스템 등의 정보기기의 UI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는 모든 경험 UX를 위한 관점 인지적(Cognitive), 감정적(Emotion), 상황과 맥락(Context), 행동적(Behavior) 인지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감정이 달라질 수 있다. 서비스를 어떤 감정으로 느끼는지, 사용자의 감정은 UX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한다. 어떤 상황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사용자가 어떻게 행동하는가 - 사용자를 이해하고, 행동 ..
2023.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