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위의 이미지는 전체 프로세스이다.
- 대기업에서는 보고 체계가 많다.
- 대기업은 모든 것이 KPI이고 모든 것이 개인의 평가 기준이기 때문에 서비스 기획을 할 때도 조직의 문화를 누르고 갈 수는 없다.
- 요구사항 분석, 개발 가능 검토, 정책 정의에 대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서비스 기획자가 생각해야 되는 부분
- 도메인에 대한 고민
- 트렌드의 변화에 대한 고민
- 새로운 IT 기술에 대한 고민
- 사용자에 대한 고민
개발자에게 전달하기 전까지
- 위에 있는 분들에게 보고는 다 끝낸 뒤 전달하게 된다.
- 개발자와 논의하게 되는 부분은 이 정도의 스펙이 개발하는 기간,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이 일정에 맞춰서 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 그다음에 보고 체계를 거쳐서 어느 정도 의사 결정이 다 된 상태에서 서비스 기획서를 작성한다.
- 어느 정도 정책이 정해진 단계에서 개발자에게 기획서가 전달되게 된다.
명확한 프로세스로 롤백 없는 서비스 기획하기
- 서비스 안건 제시
- 현황 분석 데이터 검증
- 서비스 기획 기능 구현
- 전문가 테스트 진행
- 서비스 오픈
- 서비스 운영
- 서비스 검증
정책과 전략이 명확한 서비스 기획을 위한 조언
- 항목에 대한 정책 정의를 끊임없이 논해야 한다. 정확한 정책을 정의해놔야 한다.
- 서비스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 프로세스를 정의하면서 누수를 찾을 수 있고 앞뒤의 순서가 변경되는 것이 훨씬 더 나은 UX라는 어떤 의사 결정이 나올 수도 있다.
- 문서보다 정책 정의를 최우선으로 정리해야 한다.
728x90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주차) 06 - 쏘카 차량위치 안내 개선 프로젝트 (0) | 2023.11.26 |
---|---|
8주차) 05 - 신규 서비스 (1) | 2023.11.24 |
8주차) 04 - 02 - 여행 서비스 용어 (1) | 2023.11.24 |
8주차) 04 - 01 - 커머스 서비스에 대한 이해 (1) | 2023.11.24 |
8주차) 03 - 슈퍼앱 기획시 고려해야 하는 점 (0) | 202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