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7주차) 01 - 01 - 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들
이리2리
2023. 11. 13. 16:24
728x90
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들
- 디자이너
- 백엔드 개발자, 프론드엔드 개발자
- 서비스 기획자/PM/PO - 각각의 범위와 기대하는 업무 역량에 대한 차이
프로덕트 진행 방식 | |
서비스 기획자 | Waterfall 방식 |
PM | Agile 방식 - 최소 기능 제품(MVP) 빠르게 테스트하고 고객 피드백 바탕으로 제품을 개선 출시할 수 있는 단위 |
PO | Agile 방식 - 최소 기능 제품(MVP) 빠르게 테스트하고 고객 피드백 바탕으로 제품을 개선 출시할 수 있는 단위 |
- 서비스 기획자 - 비즈니스 기획된 것을 가지고 어떻게 사용자들한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줄 것인지 어떻게 고객들이 편리하게 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인지에 대해 집중해서 고민
- 비즈니스 기획 - 시장 조사, 수익창출 비즈니스 모델 수립, 사업 전략, 핵심 경쟁력 등의 역할 '무엇을 왜'를 고민한다.
- Project Manager - 프로젝트 일정, 리소스 산정, 계약, 산출물 관리, 업무 할당 및 관리
- UX기획, 서비스 기획 - 사용자 조사 설계, 고객 관점 사용자 경험 전략 설계, 요구사항 명세서, 기획서 작성(wireframe, workflow)
- 스프린트에서 공유하는 문서
- 이전 스프린트에서 개발 완료한 것
- 이전 스프린트에서 개발을 완료하지 못한 것(개발 완료 못한 것을 그다음 스프린트에 이어서 개발할지)
- 이전 스프린트에 발생한 기술적 이슈 또는 버그
- 이전 스프린트에 대한 회고
- 이번 분기의 OKR달성 상황
- 이번 스프린트에 개발해야 하는 것
- PO - Product Owner
- 고객을 대변하면서 사업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설 설정
- 가설을 검증할 방법을 계획하고 개발 및 디자인 요구사항 정의
- 성공 지표, 세부 지표 등을 검토하고 데이터 분석 진행
- 업무 할당, 추적, 관리하는 개발 티켓 생성
- UT 진행 후 고객 피드백을 정리하고 인사이트 발굴
- 고객 및 유관 부서와의 소통을 통해 개발 백로그 관리
- PO에게 전적인 오너십을 줄 수 있어야 한다.
- PO가 협업할 수 있는 전담 개발 조직이 있어야 한다.
- PM - Product Manager
- 개발 조직과 엽의하여 개발 일정 정의
- 구체적인 개발 티켓 생성 및 정리
- 타 개발 조직과 협업해야 할 경우 요구사항 정리 및 회의 진행
- 상세한 테스트 방식 기획 후 테스트 진행
- 신규 기능 또는 프로덕트에 대한 사용 설명서 작성 및 배포
- 고객 및 유관 부서의 상세 문의에 대한 답변
- 고객에 대한 깊은 이해, 비즈니스에 대한 깊은 이해, 개발 환경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 시장과 산업에 대한 깊은 이해, 데이터에 대한 깊은 이해를 요구한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 스킬이다. 의견을 경청, 취합하고 의사결정을 해야 하고 서비스의 기획 목표, 일관성, 안정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컨트롤한다.
- 공통 역할 -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사용자들한테 전달할 서비스의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미드필더이다.
728x90